전국 일본뇌염 경보, 백신 예방접종
여름철이 되면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곤 합니다. 일본뇌염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국 일본뇌염 경보 현황, 불활성 일본뇌염 접종시기, 그리고 예방접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 여러분께서 일본뇌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 ▼
[2024년 8월 최신] 코로나 재유행, 증상순서, 확진자현황, 격리기간
2024 코로나 재유행 최신 정보 알림최근 코로나19가 다시 재유행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재유행에 대해 걱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고 싶어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
pentony.tistory.com
말라리아 증상, 전염, 예방접종, 예방접종 부작용
말라리아 증상부터 부작용까지 완벽 이해하기 말라리아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 명이 감염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특히 여름철이 되면 모기 걱정이 많아지는데, 말라리아모기는 더욱 주
pentony.tistory.com

1. 전국 일본뇌염 경보 현황
2024년 7월 25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이는 경남과 전남에서 채집된 모기의 50% 이상이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모기로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는 주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합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심한 경우 뇌염으로 진행되어 고열, 발작,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백신 접종시기
불활성백신 접종시기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입니다. 총 5회 접종해야 하며, 불활성화 백신의 접종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접종 차수 | 접종 시기 | 설명 |
1차 | 생후 12개월 ~ 13개월 |
생후 12개월부터 13개월 사이에 1회 접종
|
2차 | 1차 접종 후 1개월 |
1차 접종 후 1개월 뒤에 2회 접종
|
3차 | 2차 접종 후 11개월 |
2차 접종 후 11개월 뒤에 3회 접종
|
4차 | 만 6세 |
만 6세가 되는 해에 추가 접종
|
5차 | 만 12세 |
만 12세가 되는 해에 추가 접종
|



생백신 접종시기
생백신 접종은 총 2회 접종하며, 접종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접종 차수 | 접종 시기 | 설명 |
1차 | 생후 12개월 ~ 23개월 |
생후 12개월부터 23개월 사이에 1회 접종
|
2차 | 1차 접종 후 12개월 |
1차 접종 후 12개월 뒤에 2회 접종
|
이러한 접종 일정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예방접종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어린이는 무료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의 발적, 통증, 발열 등의 경미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대부분 일시적입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일본뇌염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예방접종 대상자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다음과 같은 대상자에게 권장됩니다.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1년 이후 출생자
-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4.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꿀팁
- 모기 기피제 사용: 야외 활동 시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합니다.
- 긴 옷 착용: 밝은 색의 긴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 향수, 화장품 사용 자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합니다.
- 방충망 설치: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모기의 침입을 막습니다.
- 물 웅덩이 제거: 집 주변의 물 웅덩이를 제거하여 모기의 서식지를 없앱니다.



결론
일본뇌염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위험한 감염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국 일본뇌염 경보 현황, 불활성 일본뇌염 접종시기,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독자 여러분께서 일본뇌염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항상 건강에 유의하시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가을 제철음식, 제철과일 효능과 주의사항 (0) | 2024.08.24 |
---|---|
[최신정보] 냉방병 주요 증상(두통 등), 치료방법, 예방법 (0) | 2024.08.11 |
[2024년 8월 최신] 코로나 재유행, 증상순서, 확진자현황, 격리기간 (1) | 2024.08.10 |
컬러푸드 효능과 색깔별 영양소 (1) | 2024.07.31 |
[최신정보] 파킨슨병 초기증상, 원인, 치료제 (0) | 2024.07.30 |